킥애스 영웅의 탄색 스토리 분석 해석 해설
스포 포함입니다 주의!
이번에 분석해 볼 영화는 킥애스 : 영웅의 탄생!
감독은 메튜본.
자세한 설명은 생락한다.
각본은 메튜본의 듀오라고 할 수 있는 제인 골드만.
원작자는 많은 슈퍼히어로들의 아버지 마크 밀러.
다음은 스토리 분석!
설정 : 지나치게 평범한 학생 데이브는 왜 세상에 진짜 히어로가 없는지 의문입니다.
계기적 사건 : 자신과 친구가 강도를 당할 때, 그 광경을 보고도 모른채 하는
사람을 보곤, 영웅은 만화책 속에만 있지만 악당은 현실에도 있다는 것을 깨닫습니다.
구성점 1 : 킥애스는 스스로 영웅이 되기로 합니다.
비트 1 : 영웅이 되려 강도들과 싸우지만 칼에 찔리고 차에 치여 오히려 중상만 입게됩니다.
비트 2 : 길거리 폭력배들의 폭력에 당하는 사람을 구하며 일약 인터넷 스타가 된 킥애스.
비트 3 : 레드미스트의 함정에 빠져 BD 와 함께 마약조직에 납치당한 킥애스.
다행히 힛걸이 두 사람을 구하러 오나 BD 는 죽어버립니다. 킥애스는 스스로가 영웅이 아닌
형편없고 유약한 어린애란걸 깨닫게 됩니다.
구성점 2 : 하지만 킥애스는 다시금 영웅이 되려고 합니다.
왜냐면, 작은 힘에는 의무가 따르지 않는다는 말은 거짓이기 때문입니다.
클라이막스 : 마약조직에 함께 쳐들어간 킥애스와 힛걸은 위기끝에 적들을 일망타진합니다.
해제 : 킥애스와 힛걸은 서로 마스크를 벗고 통성명을 합니다.
아마 이전과 같을 수는 없을 듯한 일상 속으로 둘은 걸어갑니다.
-
스토리가 내포하는 의미를 살짝 해석 해 보자면 이겁니다.
"영웅을 만드는 것은 초능력이 아닌, 작은 의무감이다."
영화의 극후반부
주인공이 말하는 대사. '작은 힘에는 의무가 없다고 한다'
라는 말은 사실, 히어로물에서 유명한 대사인
"큰 힘에는 의무가 따른다."
를 패러디 한 것 이죠.
영웅들의 고뇌를 함축한 이 멋진 대사는,
사실 어떻게 보면 큰힘을 갖지 않은 일반인인 우리들에게
거리감을 만들어주는 역할도 합니다.
우리는 큰 힘이 없으니까요.
킥애스는 바로 이 간극을 접어버리는 곳에서 부터 시작하는 영화입니다.
누구나 영웅이 될 수 있습니다.
의무감만 있다면 말 이죠.
'영화 (감상) > 서사분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루비스팍스 서사구조분석 (0) | 2022.07.30 |
---|---|
스토리 구조분석 #8 : 모아나 (0) | 2017.12.31 |
스토리 구조분석 : 에이스 벤츄라 (0) | 2017.12.29 |
스토리 구조 분석 : 아바타 (0) | 2017.12.29 |
영화 스토리 분석 : 국제시장 (0) | 2017.12.23 |